
1. 콘스탄티노플로의 수도 이전 우선 로마의 지리적 위치를 살펴보면 로마는 서부 유럽에 위치한 도시로 티베르 강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이며, 지중해에 접해 있습니다. 그러나 로마는 서쪽으로 게르만족, 북쪽으로 알프스 산맥, 동쪽으로 동방 제국과 접해 있었는데 이러한 지리적 위치는 로마 제국의 통치를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게르만족은 로마 제국의 서쪽 국경을 위협하는 세력이었으며, 알프스 산맥은 로마 제국과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가로막는 장애물이었습니다. 또한, 동방 제국은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을 위협하는 세력이었으며, 로마와 동방 제국 사이에는 종교적 갈등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수도를 동쪽으로 옮기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

1.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등장 콘스탄티누스는 서기 272년 2월 27일에 지금의 루마니아에 있는 나이소스라는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로마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1세이고, 어머니는 하녀 출신인 헬레나였습니다. 콘스탄티누스는 17세에 아버지의 군대에 입대하여 전쟁터에서 활약했으며 어렸을 때부터 용맹하고 지략이 뛰어났습니다. 20세에는 아버지로부터 갈리아와 브리타니아를 통치하는 총독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콘스탄티누스는 총독으로 재직하면서 뛰어난 행정 능력을 발휘하였으며 갈리아와 브리타니아의 경제를 발전시키고, 군대를 정비하여 로마 제국의 북방 국경을 지키는 데 힘썼습니다. 또한, 그는 어려서부터 기독교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어머니인 헬레나는 기독교 신자였기 때문이었습니다. 헬레나는 콘스탄..

1. 3세기 위기 로마 제국은 2세기 말부터 3세기에 걸쳐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이를 3세기 위기라고 부르는데 3세기 위기는 외부의 침략, 내부의 반란, 경제적 붕괴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습니다. 특히 외부의 침략은 가장 큰 위협이었으며 로마 제국은 북쪽에서 게르만족, 동쪽에서 사산 왕조, 북아프리카에서 반달족 등의 침략을 받았습니다. 게르만족은 로마의 국경을 넘어 이탈리아 본토까지 침입했고, 사산 왕조는 로마의 동방 영토를 공격했습니다. 반달족은 북아프리카를 장악하고 지중해를 위협했습니다. 내부의 반란도 로마 제국의 위기를 심화시켰습니다. 군인 황제들이 등장하면서 황제의 권위가 약화되었고, 지방에서는 반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2세기 말부터 3세기까지 약 50년 동안 로마 제국..

1. 로마 제국과 예수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나 활동한 당시, 세계는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 있었습니다. 로마 제국은 지중해 전역을 포함한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고 있었습니다. 유대교는 로마 제국 내에서 가장 큰 종교 중 하나였지만, 로마 제국으로부터 정치적, 종교적 자유를 누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로마 제국은 다신교 국가였으며, 황제를 신으로 숭배하는 황제 숭배를 강요했던 반면 유대교는 유일신 하나님을 믿는 일신교였기 때문에, 황제 숭배에 반대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대교는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한 종교 활동을 펼치고 있었는데, 로마 제국은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는 등 유대교에 대한 탄압을 가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유대교의 가르침을 바탕으..

1. 안토니우스 전염병의 배경 안토니우스 전염병은 서기 165년부터 180년 사이에 로마 제국 전역에서 발생한 전염병입니다. 이 당시 로마 제국은 세계 최대의 제국으로, 서유럽과 북아프리카, 중동, 소아시아에 걸쳐 광대한 영토를 차지하고 있었고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도 크게 번영하고 있었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첫째, 로마 제국은 내부적으로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습니다. 1세기 말부터 2세기 초까지 로마 제국은 내전과 반란이 끊이지 않았는데 황제와 원로원 사이의 권력 다툼, 노예 반란, 국경지대의 반란 등이 로마 제국의 안정을 위협하고 있었습니다. 둘째, 로마 제국은 인구 증가와 식량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로마 제국의 인구는 1세기 말부터 급격히 ..

1. 오현제의 등장 로마의 5현제 시대는 로마 제국의 전성기 중 하나로, 네르바 황제가 선제관살해로 집권한 서기 96년부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사망한 180년까지 약 80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이 시대는 로마 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발전과 번영을 이루었던 시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5현제 시대가 시작되기 직전의 로마 제국은 정치적 혼란과 불안정으로 얼룩져 있었는데, 네르바 황제의 전임자인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폭군으로 악명 높았고, 그의 사망 이후에는 황제 자리를 둘러싼 내전이 계속되었습니다. 또한 로마 제국은 1세기 동안 끊임없는 전쟁과 내전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혼란으로 인해 로마 시민들은 평화를 갈망하게 되었는데 이 혼란 속에서 네르바 황제는 선제관을 살해하면서 집..

1. 폼페이 화산의 폭발 폼페이 화산 폭발 당시의 로마는 서기 79년 8월 24일이었으며 이탈리아 반도 중부에 위치한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여 인구 약 2만여 명의 도시 폼페이를 잿더미로 만들었습니다. 당시 로마 제국은 네로 황제의 통치하에서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으며, 로마는 지중해 전역을 지배하는 강대국으로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폼페이는 로마 제국의 번영을 상징하는 도시 중 하나로 이탈리아 반도 남쪽에 위치한 나폴리 만 연안에 있는 도시였습니다. 로마의 식민지 도시로였으며 번성한 무역항이자 휴양지였고 무엇보다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화려한 건축물, 풍요로운 문화를 자랑하는 도시였습니다. 폼페이는 화산이 폭발 하기 전인 서기 62년에 이미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었으나 복구 작업이 진행되면..

1. 콜로세움 경기장 건설의 배경 콜로세움이 건설될 당시인 서기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이 최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로마 제국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전역에 걸쳐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경제와 문화도 크게 발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로마 제국은 내전에 휩싸였는데 이로으로 인해 로마는 황폐해졌고,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내전을 종식시키고 새로운 왕조를 세웠으며 콜로세움을 건설하여, 자신의 새 왕조를 국민들에게 알리고자 하였습니다. 특히 로마 제국은 대규모 공공사업들을 통해 국민들의 지지를 얻고자 하였으며 도로, 다리, 수도, 공중 목욕탕 등 다양한 공공시설들을 건설했습니다. 콜로세움도 이러한 대규모 공공사업 중 하나였습니다. 콜로세움은 로마 시민들이 다양..